반응형 구현2 [백준] 14499 - 주사위 굴리기 [Python(파이썬)] '삼성 SW 역량 테스트' 기출 문제 입니다. 😀 문제 👉 14499번: 주사위 굴리기 1. 문제 크기가 N*M인 지도와 북쪽으로 r만큼, 서쪽으로 c만큼 떨어진 (r,c) 위치에 주사위가 존재한다.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. 초기 주사위는 모든 면이 0이다. 주사위를 굴렸을 때 지도의 바닥면 == 0: 지도의 바닥면 = 주사위의 바닥면 지도의 바닥면 != 0: 주사위의 바닥면 = 지도의 바닥면 주사위의 명령은 동쪽은 1, 서쪽은 2, 북쪽은 3, 남쪽은 4로 주어진다. 주사위를 이동할 때 마다 주사위의 윗 면에 쓰여진 수를 출력한다. 2. 풀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문제 풀이 주사위가 돌아가는 함수 구현한다. (손으로 그려보면서 하면 금방 할 수 있다. 머리로만 하지말자...) 3. .. 2021. 11. 22. [백준] 12100 - 2048 (Easy) [Python(파이썬)] '삼성 SW 역량 테스트' 기출 문제 입니다. 😀 문제 👉 12100번: 2048 (Easy) 1. 문제 N*N 크기의 보드에서 전체 블록을 상하좌우 네 방향 중 하나로 이동시킨다. 이동할 때, 같은 값을 가진 두 블록이 충돌하면 두 블록을 하나로 합치고 값을 2배로 바꾼다. 이미 합쳐진 블록은 다른 블록과 다시 합쳐질 수 없다. 최대 5번 이동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의 값을 출력한다. 2. 풀이 시뮬레이션 과 DFS를 이용한 문제 풀이 보드가 상,하,좌,우로 움직이는 함수 구현 현재 보드에서 최대값을 찾는 함수 구현 DFS 함수 구현 3. 코드 import copy N = int(input()) B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.. 2021. 11. 22. 이전 1 다음 반응형